모바일 게임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다양한 수익 모델이 등장했습니다. 게임 개발사들은 단순한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광고, 인앱결제, 패키지 판매 등 여러 전략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바일 게임의 주요 수익 모델과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 모바일 게임의 주요 수익 모델
모바일 게임의 수익 구조는 크게 광고, 인앱결제, 패키지 판매로 나뉘며, 각 모델은 게임의 특성과 타깃 유저층에 따라 선택됩니다.① 광고(Advertisement) 기반 모델광고 수익 모델은 무료 게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식입니다. 게임 내에서 특정 행동을 할 때 광고를 시청하도록 유도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주요 유형배너 광고: 화면 하단 또는 상단에 작은 배너 형태로 노출전면 광고: 특정 단계가 끝난 후 화면 전체에 표시보상형 광고: 광고를 시청하면 게임 내 보상을 제공 (예: 추가 코인, 아이템 등) 네이티브 광고: 게임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결합된 광고 (예: 배경 속 브랜드 배너) 대표적인 광고 기반 게임헬릭스 점프 – 짧은 플레이 타임과 높은 광고 노출 빈도로 수익 창출 2048 – 심플한 퍼즐 게임이지만 광고 시청을 유도하여 높은 수익 달성장점게임을 무료로 제공하여 다운로드 수 증가캐주얼 게임에서 효과적인 수익 모델단점과 도한 광고 노출은 유저 경험 저하광고 차단 프로그램 사용 시 수익 감소 가능② 인앱결제(In-App Purchase) 모델인앱결제는 게임 내에서 아이템, 캐릭터, 코스튬, 추가 콘텐츠 등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게임의 가장 중요한 수익 모델 중 하나입니다. 주요 유형소모성 아이템: 게임 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아이템 (예: 체력 회복, 부스터) 꾸미기 아이템: 스킨, 코스튬 등 외형 변경 아이템가챠 시스템: 확률형 아이템 뽑기 (예: 희귀 캐릭터 뽑기, 무기 상자 등) 구독형 서비스: 월정액으로 프리미엄 혜택 제공 (예: 광고 제거, 추가 보상) 대표적인 인앱결제 게임리니지 M – 강력한 아이템을 현금으로 구매 가능서머너즈 워 – 희귀 캐릭터를 얻기 위한 가챠 시스템 운영장점유저가 지속적으로 결제할 가능성이 높음 게임에 몰입한 유저층을 대상으로 높은 매출 가능단점일부 유저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음 (Pay-to-Win 논란)과 도한 확률형 아이템은 규제 대상이 될 가능성 있음③ 패키지 판매(Premium & Bundle Sales) 모델패키지 판매는 유저가 게임을 구매하거나, 한 번에 여러 아이템을 포함한 번들을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주요 유형유료 게임 (Premium Game): 한 번 구매하면 모든 콘텐츠를 이용 가능 (예: 마인크래프트 모바일) 초기 패키지: 게임 시작 시 기본적인 장비, 재화를 포함한 패키지 판매기간 한정 번들: 특정 기간 동안만 판매되는 한정 패키지대표적인 패키지 판매 게임마인크래프트 – 모바일 버전이 유료로 판매되며 추가 콘텐츠도 별도 구매 가능던전 앤 파이터 모바일 – 초반 성장 지원 패키지 판매장점초기 구매로 안정적인 수익 확보 가능과 금 유저를 대상으로 높은 단가의 상품 제공 가능단점무료 게임보다 다운로드 수가 적음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운영 부담 증가
2. 모바일 게임 수익 모델의 조합 전략
대부분의 게임은 하나의 수익 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모델을 조합하여 운영합니다.① 광고 + 인앱결제 (F2P + IAP 모델) 무료로 게임을 제공하고 광고 수익을 얻으면서, 동시에 일부 유저들에게 인앱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예시: 클래시 로열 (무료 플레이 + 광고 시청 보상 + 가챠 아이템 판매)② 패키지 판매 + 인앱결제게임 초반에 패키지를 판매하면서, 추가적으로 인앱결제를 유도하는 모델입니다. 예시: 리니지 M (스타터 패키지 판매 + 고급 장비 유료 구매)③ 구독 모델 + 광고 제거 옵션월정액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광고를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예시: 캔디 크러쉬 사가 (광고 제거 + 추가 스테이지 해금 구독 서비스 제공)
3. 모바일 게임 수익 모델의 미래 전망
① 광고의 진화: 맞춤형 광고와 AI 활용 AI 기반의 개인 맞춤형 광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유저 맞춤형 광고가 더욱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유저의 플레이 패턴을 분석하여 적절한 광고 제공게임 내 광고를 콘텐츠와 자연스럽게 결합② NFT와 블록체인 게임의 등장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와 블록체인을 활용한 게임이 증가하면서, 유저가 직접 아이템을 거래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시: 미르 4 글로벌 (NFT 아이템 거래 가능)③ 구독 모델의 확대애플 아케이드, 구글 플레이 패스와 같은 월정액 구독형 게임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고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모바일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일 모바일 게임 비교 (스토리, 그래픽, 과금 방식) (0) | 2025.01.30 |
---|---|
모바일 게임 개발 과정 (기획, 그래픽, 프로그래밍, 출시) (1) | 2025.01.30 |
한국 모바일 게임 산업 전망 (시장규모, 투자, 성장률) (0) | 2025.01.30 |
하드코어 게이머를 위한 모바일 게임 (전략, 경쟁, 난이도) (0) | 2025.01.30 |
한국 모바일 게임 전망 (2025 신작, 기대작, 흥행예측) (1)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