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각국의 게임 규제 정책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미국, 중국은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 나라별로 게임 심의, 청소년 보호, 확률형 아이템 규제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미국, 중국의 모바일 게임 규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겠습니다.
1. 한국의 모바일 게임 규제 정책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게임 규제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특히, 청소년 보호법, 확률형 아이템 규제, 셧다운제 등이 주요 규제 정책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① 게임 심의 제도 (GRAC: 게임물관리위원회) 한국에서는 모든 게임이 출시되기 전에 게임물관리위원회(GRAC)의 심의를 받아야 합니다. 연령 등급 분류: 전체 이용가, 12세 이상, 15세 이상, 청소년 이용 불가심의 기준: 폭력성, 선정성, 사행성 요소 등② 청소년 보호법 -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 (2022년 기준) 셧다운제(Shutdown System): 만 16세 미만 청소년은 밤 12시부터 오전 6시까지 온라인 게임 접속 금지 2022년 1월부로 폐지되었으며, **자율적 선택제(게임 시간 관리 서비스)**로 변경됨③ 확률형 아이템 규제 (확률 공개 의무화) 2022년부터 게임 내 뽑기(가챠) 아이템의 확률 공개가 의무화됨 확률형 아이템 규제 강화를 위해 게임법 개정 논의 진행 중④ e스포츠 및 게임 중독 관리 e스포츠는 산업 육성 대상으로 지원하지만, WHO(세계보건기구)에서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면서 논란게임 중독 예방을 위해 부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상담 서비스 제공한국 게임 규제 특징:게임 심의 및 등급 분류 필수확률형 아이템 공개 의무화셧다운제 폐지 후 자율적 게임 시간 관리 정책 시행
2. 미국의 모바일 게임 규제 정책
미국은 상대적으로 게임 규제가 덜 엄격한 국가이며, 기업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선호합니다.① ESRB 등급 분류 제도 (Entertainment Software Rating Board) ESRB는 비정부 기관으로, 게임사들이 자율적으로 등급을 신청등급 분류:E (Everyone, 전체 이용가) T (Teen, 13세 이상) M (Mature, 17세 이상) AO (Adults Only, 18세 이상)② 청소년 보호 정책 - 자율 규제 중심미국은 한국처럼 강제적인 셧다운제 없습니다만, 보호자가 자녀의 게임 이용 시간을 직접 설정하는 기능 제공 (예: Xbox Family Settings)③ 확률형 아이템 규제 논란 2018년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확률형 아이템은 도박과 유사"**하다는 논의 진행현재 확률 공개는 의무가 아니며, 개별 게임사가 자체적으로 확률을 공개하는 방식④ e스포츠 및 게임 산업 지원미국은 e스포츠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e스포츠 선수 비자를 발급게임 중독 문제보다는 게임을 산업적, 문화적 콘텐츠로 인정하는 경향이 강함 미국 게임 규제 특징:게임 등급 심의는 있지만 자율적 신청강제적 청소년 게임 규제 없음 (보호자 설정 기능 제공) 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논의 중 (의무 사항 아님)
3. 중국의 모바일 게임 규제 정책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게임 규제를 시행하는 국가입니다. 특히,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이 많으며, 게임 시장에 대한 강력한 통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① 판호(版号) 제도 - 게임 출시 허가제모든 게임은 중국 정부(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출시 가능외국 게임사는 중국 현지 기업과 합작하여 판호를 신청해야 함 2021년 이후 판호 발급이 엄격해지면서, 한국 게임들의 중국 출시가 어려워짐② 청소년 게임 이용 시간제한 2021년 9월부터 18세 미만 청소년은 금, 토, 일, 공휴일에만 1시간 게임 가능 (오후 8시~9시) 실명 인증 시스템 도입하여 청소년 게임 시간을 강제 제한③ 확률형 아이템 규제 및 사행성 게임 금지중국에서는 확률형 아이템(가챠) 확률 공개 의무화도박 요소가 포함된 게임은 출시 자체가 불가능"피로도 시스템" 도입: 일정 시간 이상 플레이하면 게임 내 보상이 줄어드는 방식④ 정치적 검열 및 게임 콘텐츠 제한 반정부 요소, 폭력성, 선정성, 서구 문화 미화 콘텐츠 금지중국 공산당의 가치관에 맞는 게임만 출시 가능 (예: 애국심 고취 게임 우대) 중국 게임 규제 특징:게임 출시 허가제(판호) 필요청소년 게임 시간 강력 제한 (주 3시간) 확률형 아이템 확률 공개 필수정부 검열을 통과해야 출시 가능모바일 게임 규제는 각국의 정책에 따라 자율적 규제 vs 강력한 통제로 나뉩니다. 미국은 기업의 자유를 존중하며, 자율 규제 방식이 주를 이룹니다. 한국은 확률형 아이템 규제, 등급 심의 강화 등 일부 규제를 시행하지만, 완전한 통제는 아님. 중국은 게임 심의, 시간제한, 정치적 검열 등을 통해 가장 강력한 게임 규제를 시행합니다. 앞으로 게임 산업이 발전하면서 어떤 방식의 규제가 게임 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계속해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모바일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0년대 모바일 게임 (추억의 명작, 인기 장르, 대표 게임) (1) | 2025.01.31 |
---|---|
한국과 중국 모바일 게임 (매출, 인기 장르, 마케팅 차이) (1) | 2025.01.30 |
한일 모바일 게임 비교 (스토리, 그래픽, 과금 방식) (0) | 2025.01.30 |
모바일 게임 개발 과정 (기획, 그래픽, 프로그래밍, 출시) (1) | 2025.01.30 |
모바일 게임 수익 모델 분석 (광고, 인앱결제, 패키지 판매)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