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은 아시아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국가입니다. 하지만 두 나라의 모바일 게임은 매출 규모, 인기 장르, 마케팅 전략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 모바일 게임의 주요 차이점과 각 시장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겠습니다.
1. 한국 vs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 비교
①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와 매출 2023년 기준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는 약 20조 원(150억 달러) 수준한국은 모바일 게임 매출 기준 세계 4위 (1위 중국, 2위 미국, 3위 일본) MMO RPG 장르가 시장을 주도하며, 고과금 유저(P2W, Pay to Win) 비중이 높음 대표 게임사 및 게임넥슨(Nexon): 히트 2, 바람의 나라: 연엔씨소프트(NCSOFT): 리니지 M, 리니지 W넷마블(Netmarble): 세븐나이츠, 제2의 나라카카오게임즈(Kakao Games): 오딘: 발할라 라이징특징:강한 과금 유도 모델 (VIP 시스템, 장비 강화 등) MMO RPG 기반의 성장형 게임 인기국내 시장 중심으로 개발되며 글로벌 확장은 제한적②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와 매출 2023년 기준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는 약 **70조 원(500억 달러)**로 세계 1위 중국은 모바일 게임 매출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초대형 시장한국과 달리 장르가 다양하며,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대표 게임사 및 게임텐센트(Tencent): 왕자영요(王者荣耀), PUBG 모바일넷이즈(NetEase): 음양사, 황야행동미호요(miHoYo): 원신, 붕괴: 스타레일퍼펙트월드(Perfect World): 완미세계 모바일특징:거대한 내수 시장 + 강력한 글로벌 시장 공략장르가 다양하고, 캐주얼 게임과 전략 게임도 강세모바일 e스포츠와 연계하여 장기적인 유저 유지 전략 활용
2. 한국 vs 중국 인기 모바일 게임 장르 비교
MMORPG | 매우 인기 (리니지, 오딘) | 인기 (천애명월도, 완미세계) |
MOBA | 다소 약함 (펜타스톰 정도) | 강세 (왕자영요, Honor of Kings) |
배틀로얄(FPS) | 강세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강세 (황야행동, 콜오브듀티 모바일) |
수집형 RPG | 인기 (세븐나이츠, 소녀전선) | 인기 (음양사, 원신) |
캐주얼 게임 | 상대적으로 약함 | 매우 인기 (해피 엘리먼트, 미니게임) |
① 한국: MMO RPG & 배틀로열 강세한국은 MMORPG와 배틀로열 게임이 가장 인기가 많으며, 장기적인 성장과 경쟁을 중심으로 하는 게임 구조가 많습니다. 대표 인기 게임 MMO RPG: 리니지 M, 오딘: 발할라 라이징, 검은 사막 모바일배틀로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서든어택 M② 중국: MOBA & 캐주얼 게임 강세중국은 MOBA 장르와 캐주얼 게임이 매우 인기가 많으며, 광범위한 유저층을 겨냥한 다양한 게임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대표 인기 게임 MOBA: 왕자영요(Honor of Kings), 결전! 평안경캐주얼 게임: 애니팡 스타일 미니게임, 카드 게임
3. 한국 vs 중국 모바일 게임 마케팅 전략 차이
① 한국의 모바일 게임 마케팅 특징연예인 & 유명 IP 활용한국은 연예인 모델, 인기 웹툰 및 드라마 IP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많음 예: 세븐나이츠 2 → 방탄소년단(BTS) 콜라보, 쿠키런 → 애니메이션 IP 활용사전예약 & 혜택 중심 마케팅출시 전 사전예약을 통해 초기 유저를 유입하는 방식사전예약 보상 제공 (한정 아이템, 가챠 티켓 등) 인플루언서 & 유튜브 광고 활용게임 스트리머와 유튜버를 통한 홍보가 활발함네이버,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마케팅 강화대표적인 사례리니지 W → 유명 배우 출연 광고오딘: 발할라 라이징 → 대형 사전예약 캠페인② 중국의 모바일 게임 마케팅 특징바이럴 마케팅 & 짧은 영상 콘텐츠 활용중국은 틱톡(抖音, Douyin), 샤오홍슈(小红书) 같은 SNS를 적극 활용하여 짧은 영상으로 유저 유입 AI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게임 광고를 자동 노출게임 & e스포츠 연계 홍보모바일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여 장기적인 브랜드 구축예: 왕자영요 프로 리그(KPL) 개최, 글로벌 e스포츠 진출해외 시장 공략 & 현지화 전략중국 게임사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각국의 문화에 맞춘 현지화 전략을 사용예: 원신 →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해외 공략,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디아 출시대표적인 사례왕자영요 → 중국 대표 e스포츠 게임원신 → 해외 10억 달러 이상 매출 기록
'모바일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모바일 게임 역사 (2000년대, 성장 과정, 히트작) (1) | 2025.02.01 |
---|---|
2000년대 모바일 게임 (추억의 명작, 인기 장르, 대표 게임) (1) | 2025.01.31 |
국내외 모바일 게임 규제 비교 (한국, 미국, 중국 차이점) (0) | 2025.01.30 |
한일 모바일 게임 비교 (스토리, 그래픽, 과금 방식) (0) | 2025.01.30 |
모바일 게임 개발 과정 (기획, 그래픽, 프로그래밍, 출시) (1) | 2025.01.30 |